think9535 님의 블로그

think9535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14.

    by. think9535

    목차

      서론: 바이오 플라스틱과 재활용의 필요성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친환경 소재로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이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식물성 원료(옥수수, 사탕수수, 해조류, 미생물 등)로 제조되며, 일부는 생분해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 플라스틱이 재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일부는 기존 플라스틱과 재활용 방식이 달라 오히려 재활용 공정을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이오 플라스틱의 재활용 가능 여부와 최신 재활용 기술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바이오 플라스틱의 재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최신 재활용 기술 및 해결 방안을 소개하겠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가능할까? (재활용 기술 분석)

      1. 바이오 플라스틱의 종류별 재활용 가능 여부

      바이오 플라스틱은 크게 생분해성(Biodegradable)과 비 생분해성(Non-biodegradable) 플라스틱으로 나뉘며, 재활용 가능 여부는 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 원료 재활용 가능 여부 주요 특징
      PLA (폴리락틱애시드) 옥수수,사탕수수 ♻️ 화학적 재활용 가능, 기계적 재활용 어려움 산업용 퇴비화 필요, 기존 PET와 혼합 시 재활용 방해
      PHA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미생물 발효 ❌ 현재 재활용 어려움 자연 분해 가능, 일반 재활용 공정과 호환되지 않음
      PBAT (폴리부틸렌 아디페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바이오+석유 혼합 ❌ 현재 재활용 어려움 생분해 가능, 기존 플라스틱과 혼합 시 재활용 문제 발생
      바이오 PE (바이오 폴리에틸렌) 사탕수수 ♻️ 기존 PE와 동일하게 재활용 가능 기존 PE와 동일한 성질, 재활용 용이
      바이오 PET (바이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사탕수수 ♻️ 기존 PET와 동일하게 재활용 가능 기존 PET 공정에서 재활용 가능

      📌 결론:

      • 바이오 PET, 바이오 PE는 기존 플라스틱과 동일한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다.
      • PLA, PHA, PBAT 같은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은 일반적인 기계적 재활용이 어렵고, 별도의 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2. 바이오 플라스틱 재활용이 어려운 이유

       1) 기존 플라스틱과 혼합될 경우 재활용 공정 방해

      • PLA는 PET와 물성이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어 PET 재활용 공정에서 오염 물질로 간주된다.
      • 일반 플라스틱과 혼합될 경우, 전체 재활용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별도의 분리 공정이 필요하다.

      📌 사례:

      • 유럽연합(EU) 연구에 따르면, PLA가 기존 PET와 섞이면 PET 재활용률이 40%까지 감소할 수 있다.

       2) 기계적 재활용이 어려운 바이오 플라스틱이 많음

      • 기존 플라스틱(PET, PE 등)은 기계적 재활용(Shredding & Remolding)이 가능하지만, PLA, PHA는 반복적으로 가열하면 물성이 약해져 기계적 재활용이 어렵다.
      • 기계적 재활용을 하면 품질이 낮아지기 때문에, 화학적 재활용 기술이 필요하다.

      📌 결론:

      • PLA, PHA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은 기계적 재활용이 어렵고, 화학적 재활용 또는 생분해 처리가 필요하다.

      3. 최신 바이오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1) 화학적 재활용 기술 (Chemical Recycling)

      • 화학적으로 PLA, PBAT 등의 분자를 원래의 원료(모노머)로 되돌려 다시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는 기술.

      📌 최신 연구 사례:

      • 미국 UC 버클리 연구팀(2023년)
        • PLA를 분해하는 촉매를 개발하여 원료로 재사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기술 개발.
        • 기존 기계적 재활용보다 품질 저하 없이 PLA를 100% 재활용 가능하다.
      • 독일 BASF(2022년)
        • PBAT의 화학적 재활용 공정 개발, 기존 플라스틱 공정과 호환 가능하다.

      📌 결론:

      • 화학적 재활용 기술이 발전하면, PLA와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도 재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2) 효소 기반 재활용 기술 (Enzymatic Recycling)

      • 특정 효소를 이용하여 PLA, PHA 등을 빠르게 분해하여 원료로 재활용하는 기술.

      📌 최신 연구 사례:

      • 미국 텍사스대학교(UT Austin, 2022년)
        • PET 분해 효소(FAST-PETase) 개발.
        • 일반적인 환경에서도 24시간 내에 PET를 90% 이상 분해된다.
        • 향후 PLA, PBAT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에도 적용 가능성 연구 중이다.
      • 프랑스 카르비오(Carbiolice, 2023년)
        • PLA 분해 촉진 효소 개발, 퇴비화 조건이 아닌 일반 환경에서도 분해 가능하다.

      📌 결론:

      • 효소 기술을 활용하면 PLA, PHA 같은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의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3) 바이오 플라스틱 전용 재활용 공정 구축

      • 기존 플라스틱과 혼합되지 않도록 바이오 플라스틱 전용 재활용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 사례:

      • 일본 토요보(Toyobo, 2022년)
        • PLA 전용 재활용 공정을 개발하여, 기존 PET 공정과 분리하여 처리 가능하다.
      • 유럽연합(EU, 2024년 시행 예정)
        • PLA, PBAT 등 특정 바이오 플라스틱을 별도로 수거하는 정책 도입.

      📌 결론:

      • 바이오 플라스틱 전용 분리배출 시스템이 필요하며, 정부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바이오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해결 방안

      🔹 화학적 재활용 및 효소 분해 기술 개발 확대
      🔹 바이오 플라스틱 전용 분리배출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 기존 플라스틱과 혼합되지 않도록 소비자 교육 및 정책 강화
      🔹 기계적 재활용이 가능한 바이오 PET, 바이오 PE 사용 확대

      📌 결론적으로, 바이오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정책 및 인프라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